행사  •  위원회

변화하는 한국의 에너지 환경 속, FKCCI 에너지 위원회 새로운 기회 모색

2025년 초, 해상풍력, 핵폐기물 저장, 전력망 현대화에 관한 세 가지 주요 에너지 법안이 통과되면서 한국이 에너지 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FKCCI 에너지 위원회는 4월 22일 회의를 열고, 프랑스와 한국의 주요 에너지 관련 기업에서 활동 중인 C레벨 임원 18명이 한자리에 모여 이번 법안의 의미와 시장 동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새롭게 에너지 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벵상 불랑제 EDF 리뉴어블스 코리아 대표의 주재 아래, 벤자민 도댕 BadaEnergy의 PMO 및 재무 매니저, 질 힐드 Veolia Korea 에너지 사업부 대표의 지원으로 진행되었다. 세션에서는 마리 아띠에 주한 프랑스 대사관 에너지 및 신기술 부서장 겸 원자력 고문이 기조연설을 맡아, 한국의 전력 믹스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제시했다. 그녀는 현재 한국의 전력 생산이 여전히 석탄(55%)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산업 수요 증가로 인한 압력이 심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 설치 용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탈탄소 기반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현행 전기 요금 체계가 청정 에너지 솔루션의 도입을 저해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한국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2025년 6월 예정된 한국 총선과 제2차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 에너지 산업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2030 에너지 로드맵은 재생에너지 비중을 40%까지 확대하고, 원자력 발전 강화 및 수소, 태양광, 해상풍력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담고 있으나, 다가오는 선거 결과에 따라 이러한 계획들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원탁회의에서는 폐쇄·해체, 폐기물 처리, 에너지 효율, 해상 기술 등 프랑스가 강점을 지닌 분야에서 한국이 해외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정책적 신호는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노후화된 전력망과 산업계의 탈탄소화에 대한 저항 등 구조적인 문제들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위원회는 긍정적인 결론으로 회의를 마무리했다. 원자력이 향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해상풍력은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수소 산업도 점차 탄력을 받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확고한 의지와 산업계의 점진적인 참여에 힘입어 한국의 에너지 전환은 분명히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더 많은 소식

Share this page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Share on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