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꼬레 아페르 108호] 코로나19 : 생활 공간의 재정립

글 - 다비드-피에르 잘리콩,디피제이파트너즈 건축사무소(DPJ & Partners Architecture)대표

 

코로나19 위기로 우리는 가정이든 직장이든 생활 공간을 재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동안 우리는 생활 공간에 대해 거의 생각하지 않고 살았으나 이번 기회로 지금의 생활 공간이 더이상 일과 일상에 적합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외부 공간이나 집에서 일하는 방식이 하이브리드화 되는 현상을 목격하면서 그 동안 분리되었던 직장과 가정이라는 두 공간의 경계가 무너지는 것 같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원격 근무가 일반화되면서 작업 공간과 가정 사이에 경계가 모호해지고, 이로 인해 작업 공간의 재정립이 필요해진다. 실제로 오늘날 많은 직원들이 ‘사무실’이라는 개념에 다양한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즉, 불필요한 이동 감소(‘Zoom 화상회의 앱과 같은 온라인 활동), 여유와 일의 효율성, 심리적 안정 증가, 유대, 집단 지성 및 창의성을 장려하는 공간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러나 물리적으로 ‘옆에 같이 있어야’ 직원들의 자발성이 향상되고 함께 아이디어를 공유하기 용이하다는 점은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위생 수칙을 지키면서 공동 작업 공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공간을 가리켜 ‘허브와 클럽 (Hubs and Clubs)’이라고 부른다. ‘허브’는 사내의 활력이 만나는 곳이고 ‘클럽’은 공동 작업 공간처럼 회사 조직의 가치를 사회화하고 공유하기 위한 곳이다. 이번 코로나19에 따른 직접적인 교류 감소로 회사에서 웹 스튜디오와 같이 화상 회의를 위한 적합한 장소가 개발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성으로 직원들의 심리적 안정감 증가와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장해줄 수 있는 조용한 공간도 만들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로부터 직원들을 보호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공용 공간의 관리가 중요하다. 다시 말해, 직원들이 교대 근무를 하고 재택근무와 사무실에서의 근무를 번갈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사무실에는 사람이 더 적어지고 직원 한 명당 확보하게 되는 공간 크기(m²)가 더 넓어질 것이다. 또한, 매일 저녁마다 직원의 요구에 따라 유연하게 바꿀 수 있는 ‘플렉스 오피스(Flex Office)’가 활성화될 것이다.

 

1980년대에 고용주는 컨설턴트, 방문객, 인턴 등을 수용하기 위해 1인당 18m²의 작업 공간과 100명의 직원을 위한 110개의 작업 공간을 계획했다. 2019년 말이 되면 그 비율은 직원 100명당 11m²와 80개의 작업공간으로 떨어진다. 재택 근무와 코로나의 경험으로 이 비율은 50~60개의 작업 공간으로 더 낮아질 것이다. 또한, 사회적 거리 두기 차원에서 회사들은 직원 1인당 여유 공간(m²)을 더 넓힐 것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공간 통합’이 필요하다.

 

공간을 통합시키는 것이나 호텔링 기법이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이미 2000년대에 서울에서 호텔링 시험 사업이 이루어졌다. 직원 6백 명이 넘는 대규모 컨설팅 회사가 호텔링 방식으로 사무실을 재정비한 것이다. 당시 이 회사는 외근이 많은 직원들의 업무 성격을 고려해 지정된 책상을 이용하지 않고, 공용 책상을 예약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을 최적화시켰다. 오늘날 우리는 새로운 프로젝트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방식은 더욱 보편화되었고 더 많이 수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모든 직원이 아니라 외근이 잦은 특정 부서와 관계된 부분이다. 이와 같은 호텔링 기법으로 공간이 최대 30% 혹은 40%까지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서울에서 나타나는 평균 공실률 10%가 그 예다. 도심 일부 지역에서는 공실률이 18%에 가까워 사무실 건물이 주거 공간인 ‘오피스텔’로 다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 공간 설계 변화는 우리가 더 이상 사무실에서만 인간관계를 맺지 않는다는 사회적 변화와 관련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공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번 사태로 인해 더욱 부각된 ‘터치리스’ 및 ‘데이터로드’의 개발과 같은 기술에서도 나타난다. 음성 주문 시스템 등의 도입으로 점점 디지털화 되는 공간과 함께 고용주는 전염병의 위험을 예방하고자 작업 방식을 관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수많은 디지털 감지기가 공간을 설정해 공기 순환을 촉진하고 공간의 밀도를 제어하며 개개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건강 및 안전 표준이 등장할 것이다. 현재 ISO 45001 ‘직업 보건 및 안전(OH&S)’은 직장 내 직원 보호 관리를 위한 유일한 표준이다. 이러한 표준은 코로나19와 같이 전염병 사태가 반복될 경우 친환경 건축물 국제 표준(LEED)처럼 지속적으로 인증 기준이 변동될 수 있다.

 

직장이 변화하면 거주지도 변화해 균형을 이룬다. 직장과 가정은 서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은 바이러스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집에 머물게 되었다. 이처럼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 격리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과거와는 다른 목적으로 집에 머무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집이 생활 공간이자 소비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실제로 격리 기간 동안 홈쇼핑이나 온라인 주문 대부분이 집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집 자체도 소비 활동의 공간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최근 몇 달 동안 가구, 장식 용품, 웰빙 용품, 레저 및 가전 제품의 구매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이케아와 한샘의 한국 매출은 30% 증가했다. 가장 잘 팔리는 가구는 기존의 4인용 식탁이 아닌 6인용 식탁이다. 그 동안 식탁이 식사하는 공간이었다면, 이번 코로나19로 식사와 동시에 일하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다기능 공간이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이나 아파트는 예전보다 훨씬 다용도 공간이 되어 새로운 작업 공간과 피트니스 공간(마사지 의자, 사우나), VR 비디오 게임, 식물이 심어진 테라스, 발코니 등 여가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크기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더욱 포괄적이고 안락한 거주 공간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가정 자동화 서비스 및 IoT 장비의 성장과 함께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술은 우리의 건강, 항균 제어, 공기 여과 시스템을 점차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사용될 것이다.

 

코로나19로 우리는 생활 공간에 대한 교훈을 얻는다. 그 동안 생활 공간은 너무 오랫동안 부동산의 관점이나 토지 최적화 관점으로 바라보기만 했을 뿐, 정작 삶의 균형에 필요한 장소라는 사실을 깜빡했다. 생활 공간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의 중요성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가고 여기서 자신을 보호하는 법을 배운다면 환경을 재검토 할뿐만 아니라 생활 방식을 새롭게 생각할 수 있다. 건축가는 이러한 비전을 구체적으로 실현해야 한다. 이것이 건축가 직업의 본질이며 건축가가 져야 하는 고귀하고 무거운 책임이다.

더 많은 소식

Share this page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Share on Linkedin